전체메뉴

  • 제조 산업과 제조 연관 전후방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킬 산업인공지능분야 융합형 석·박사 전문 인력 양성

  • 제조 산업과 제조 연관 전후방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킬 산업인공지능분야 융합형 석·박사 전문 인력 양성

Notice

2022-12 28
[수상] 서울대학교 윤병동 교수 연구실 김용채, 이상경, 오혜준 석사과정 POSTECH Open Innovation Big Data Challenge Winner - 우수상 수상

윤병동 교수의 시스템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연구실(Laboratory for System Health & Risk Management) 소속 이상경, 오혜준, 김용채, 김봉모 석사과정으로 구성된 “3축진동센서”팀이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오픈 이노베이션 빅데이터 센터(OIBC)와 ㈜H Energy가 공동주최하는 “제 4회 POSTECH OIBC Challenge – 태양광 발전량 예측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본 대회는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21개의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량 데이터와 3개의 기상 관측소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음날 24시간 동안의 광명시 태양광 발전량을 구간으로 예측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매시간 각 팀들이 예측한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 사이의 오차율 그리고 구간에 따른 패널티를 고려하여 점수가 정해졌다. 5일간 누적 점수와 문제 해결에 사용한 알고리즘의 창의성, 발표를 모두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2022-12 28
[수상] 서울대학교 윤병동 교수 연구실 김용채, 김태훈 석사과정, 이진욱 박사과정 2022 PHM Society Data Challenge –winner(2nd place)

윤병동 교수의 시스템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연구실 소속 김용채, 김태훈 석사과정, 이진욱 박사과정 은 미국 PHM학회 주최 산업데이터 분석 국제 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유압 신호를 활용하여 여러 운행 조건 하에서 유압식 착암기의 결함 유무를 판단하고, 결함의 크기를 예측하는 과제가 제시되었다. 해당 과제는 경제적·사회적 비용이 크고 매우 가혹한 운행 조건 배경인 광업 관련 시스템의 결함을 예측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연구팀이 각각 제안한 기술들은 인공지능 기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를 연구팀의 강점인 기계공학 도메인 지식을 융합한 산업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2022-12 28
[수상] 서울대학교 윤병동 교수 연구실 오혜준, 이상경 석사과정, 채민석 박사과정 2022 PHM Society Data Challenge –winner(1st place)

윤병동 교수의 시스템 건전성 및 리스크 관리 연구실 소속 오혜준, 이상경 석사과정, 채민석 박사과정은 미국 PHM학회 주최 산업데이터 분석 국제 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유압 신호를 활용하여 여러 운행 조건 하에서 유압식 착암기의 결함 유무를 판단하고, 결함의 크기를 예측하는 과제가 제시되었다. 해당 과제는 경제적·사회적 비용이 크고 매우 가혹한 운행 조건 배경인 광업 관련 시스템의 결함을 예측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연구팀이 각각 제안한 기술들은 인공지능 기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를 연구팀의 강점인 기계공학 도메인 지식을 융합한 산업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해결하였다.